보고서[KDF 리포트] 41호 민주인권기념관이 민주주의 교육의 새날을 열기를(김육훈)

민주인권기념관 건립을 환영한다

우리 민주화 역사에서, 남영동 대공분실이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이곳은 바로 유신독재와 전두환 독재 시기 무자비한 국가폭력이 자행됐던, 그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가늠하기 어려운 고통을 받았던 바로 그 장소다. 아울러 죽음 같은 폭력에 맞서면서도 민주화를 향한 열정을 꺾지 않고 마침내 민주항쟁의 승리로 이어지는 도화선이 된 바로 그 현장이다.

 

민주인권기념관에서 무엇을 기억하고, 기념할 것인가

야만적 국가폭력과 숭고한 죽음의 장소로 재현되기보다, 기억하고 애도하며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공간으로 재현되면 좋겠다. 이를 위해서는 그 시기 행위자들을 두루 보여주는 방식이면 좋겠다. 박종철의 죽음에서 6월항쟁으로 이어지는 과정은, 뭇 사람들이 보여준 작은 용기들이 모여 거대한 물줄기를 만드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들이 형상화될 수 있을 때, 이곳은 숭고한 추모의 공간이 아니라 시민적 삶 속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시민적 참여를 생각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민주주의 교육장으로서 민주인권기념관

잊혀져서 안될 기억을 사회적 기억으로 만들기 위해, 민주화운동이 추구했던 가치를 더 폭넓게 공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어쩌면 더 중요한 부분은 학생이나 청년 세대를 향해 열려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 공간이 정식으로 출범하고 나면, 이들이 역시 가장 많이 이 곳을 찾을 것이다. 세월이 흐를수록 기념보다는 교육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민주인권기념관이 맡아서 할 수 있는 교육 활동

교육팀이 구성되면, 가장 먼저 인권유린의 역사와 같이 아픈 과거를 학생들과 공유하는 활동이 갖는 어려움과 의미를 토론하는 데서 출발하면 좋겠다. 교사들이 지금의 남영동으로 학생들을 데리고 올 경우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쉽지 않다. 공간이 주는 압도적 힘 때문이다.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처럼 나이가 아래로 내려가면 더욱 그렇다. 그건 부모도 마찬가지여서, 자녀를 데리고 와서 “여기가 경찰 아저씨들이 사람을 잡아 고문하다 죽인 곳이야”라고만 설명할 수는 없지 않은가? 이 공간이 교육적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준비된 안내자가 교육적인 방식으로 질문을 던질 수 있어야 한다.

 

민주주의와 인권의 미래를 상상하는 교육장이 되기를

기억하고 기념하는 방식, 학생이나 청년들과 소통하는 방식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독립운동이든 민주화운동이든, 그것이 어떤 특별한 혹은 위대한 인물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 양 인식하도록 하지 않았는지, 희생을 아파하고 추모하는 것이 아니라 은연 중에 감수해야 할 것으로 간주하지는 않았는지 돌아보아야 한다. 민주화운동을 국가와 공동체를 위한 당위적 실천으로서가 아니라, 참가자 자신이 삶 속에서 직면했던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으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는지도 돌아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