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


여성서사로 본 국가보안법

'국가보안법을 박물관으로' 전시회 추진위원회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 전시는 불편한 전시입니다.


우리는 이 전시를 통해 국가가 ‘법’이라는 이름으로 국민에게 ‘조작된 죄’, ‘기획된 죄’를 묻고, 사람들의 시간, 생각과 몸을 감금했던 불편한 역사를 제대로 바라보고자 합니다.


1948년부터 현재까지 국가보안법은 한국 사회를 반으로 갈라 이분법적으로 검열하고, 편 가르고, 구별 짓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계 속에 감금된 것들을 찾아, 말과 말 사이, 생각과 생각사이, 발화되지 못한 시간과 공간 사이에 남겨진 것은 무엇인지 기록하고자 했습니다. 


이 전시는 실패한 전시입니다.


국가보안법이 ‘과거형’이 아닌 ‘현재형’으로 이 세계에 현존하는 한, 국가보안법을 역사의 박물관으로 보내야 한다는 전제를 지닌 이 전시는 실패할 수밖에 없는 전시입니다.


전제된 실패를 각오하고 이번 전시를 준비하며 수십, 수백 건에 이르는 국가보안법 사건자료들을 만지고, 보고, 읽었습니다.


하나의 사건에 해당하는 수백, 수천 장이 넘는 사건자료, 변론자료, 판결문 등을 눈앞에 두고 바라볼 때마다, 그것이 이 세계를 이루고 있는 아주 작은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직 눈앞에 당도하지 않은 어마어마한 국가폭력의 피해 기록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마다 좌절하였습니다.


이 전시는 72년 동안 국가보안법에 의해 훼손되고 파괴된 삶의 어느 작은 파편도 위로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합리한 역사의 시간들에 대해 ‘질문하기’를 멈추어선 안 된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그러므로 이 전시는 싸우는 전시입니다.


전시 제목인 ‘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의 ‘말’은 국가보안법으로 인해 파생된 폭력적이고 억압적 언어들을 뜻합니다.


지배 권력과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무고한 사람들을 가둔 세계, 무지와 폭력의 언어들로 가득한 세계를 목도했을 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의 국가보안법 관련 사진들을 발견했습니다. 그 속에서 싸우는 여성들을 보았습니다


흑백사진에서 컬러사진으로 변하는 사진 속에는 도망치지 않고 국가폭력에 맞서는 사람들이 끊임없이 등장했습니다.


이 전시는 거대한 국가보안법의 역사를 모두 다루지는 못하지만, 역사의 어느 자리에 우뚝 서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전합니다.


따라서 이 전시는 결국

‘나의 말이 세계를

터뜨릴 것이다’라는

선언으로 귀결됩니다.


침묵을 강요하는 세계, 부당한 국가권력에 의해 생각의 자유가 감금되는 세계를 뚫고, 우리에게 전해지는 용기 있는 말들 속의 한 글자 한 글자를 주목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전시는 국가보안법으로 감금된 세계를 터뜨릴 ‘말’들을 모아 관객들이 읽고, 보고, 듣고, 쓰고, 사유하고, 해석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서로에게 하찮은 타인일 뿐인 우리이지만, 아주 작은 예술적 상상력으로 타인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이해해봤으면 합니다.


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이 세계가 변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전시기획 글, 예술감독 권은비

《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전시를  VR 전시장에서 만나보세요.   @민주인권기념관(옛 남영동 대공분실)

https://my.matterport.com/show/?m=oKaUCoRNwCv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줄 바꿈(BR 태그)은 Shift + Enter 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전시는 불편한 전시입니다.

우리는 이 전시를 통해 국가가 ‘법’이라는 이름으로 국민에게 ‘조작된 죄’, ‘기획된 죄’를 묻고, 사람들의 시간, 생각과 몸을 감금했던 불편한 역사를 제대로 바라보고자 합니다.

1948년부터 현재까지 국가보안법은 한국 사회를 반으로 갈라 이분법적으로 검열하고, 편 가르고, 구별 짓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계 속에 감금된 것들을 찾아, 말과 말 사이, 생각과 생각사이, 발화되지 못한 시간과 공간 사이에 남겨진 것은 무엇인지 기록하고자 했습니다. 


이 전시는 실패한 전시입니다.

국가보안법이 ‘과거형’이 아닌 ‘현재형’으로 이 세계에 현존하는 한, 국가보안법을 역사의 박물관으로 보내야 한다는 전제를 지닌 이 전시는 실패할 수밖에 없는 전시입니다.

전제된 실패를 각오하고 이번 전시를 준비하며 수십, 수백 건에 이르는 국가보안법 사건자료들을 만지고, 보고, 읽었습니다.

하나의 사건에 해당하는 수백, 수천 장이 넘는 사건자료, 변론자료, 판결문 등을 눈앞에 두고 바라볼 때마다, 그것이 이 세계를 이루고 있는 아주 작은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직 눈앞에 당도하지 않은 어마어마한 국가폭력의 피해 기록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마다 좌절하였습니다.

이 전시는 72년 동안 국가보안법에 의해 훼손되고 파괴된 삶의 어느 작은 파편도 위로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합리한 역사의 시간들에 대해 ‘질문하기’를 멈추어선 안 된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그러므로 이 전시는 싸우는 전시입니다.

전시 제목인 ‘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의 ‘말’은 국가보안법으로 인해 파생된 폭력적이고 억압적 언어들을 뜻합니다.

지배 권력과 생각이 다르다는 이유로 무고한 사람들을 가둔 세계, 무지와 폭력의 언어들로 가득한 세계를 목도했을 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의 국가보안법 관련 사진들을 발견했습니다. 그 속에서 싸우는 여성들을 보았습니다

 흑백사진에서 컬러사진으로 변하는 사진 속에는 도망치지 않고 국가폭력에 맞서는 사람들이 끊임없이 등장했습니다.

이 전시는 거대한 국가보안법의 역사를 모두 다루지는 못하지만, 역사의 어느 자리에 우뚝 서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들을 전합니다.


따라서 이 전시는 결국 ‘나의 말이 세계를 터뜨릴 것이다’라는 선언으로 귀결됩니다.

침묵을 강요하는 세계, 부당한 국가권력에 의해 생각의 자유가 감금되는 세계를 뚫고, 우리에게 전해지는 용기 있는 말들 속의 한 글자 한 글자를 주목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전시는 국가보안법으로 감금된 세계를 터뜨릴 ‘말’들을 모아 관객들이 읽고, 보고, 듣고, 쓰고, 사유하고, 해석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서로에게 하찮은 타인일 뿐인 우리이지만, 아주 작은 예술적 상상력으로 타인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이해해봤으면 합니다.


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이 세계가 변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전시기획 글, 예술감독 권은비


들어가며: 말의 세계  


이곳은 관객이 국가보안법 법령을 들으며 저항의 의미로서 나희덕 시인의 시 파일명 <서정시>를 필사하여 걸어두고 갈 수 있도록 구성된 방입니다. 

필사한 글 하단에 참여관객마다 원하는 저항의 메세지를 자유롭게 쓸 수도 있습니다. 



1부

나의 말이

세상을 터뜨릴 것이다


5층 전시실은 국가보안법에 연루된

여성 11인의 경험과 삶을

각 조사실별로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국가보안법이 만들어진 이래 국가보안법으로 인한 피해와 이에 저항하는 운동은 계속되어 왔다. 하지만 여성들의 목소리는 한 번도 전면에 드러나지 못했다. 


공백과 부재로 남아있던 여성들의 존재를 알려주는 목소리들을 따라가다 보면 국가보안법 체제 안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인지, 국가보안법 폐지 운동 속에서 여성은 어떠한 위치와 조건에 있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


말하고 행동하는 여성들의 존재는 여성의 시선으로 기억과 역사를 새롭게 구성하며, 국가보안법을 다시, 다르게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아직 말해지지 못한 침묵에도 귀 기울이며, 우리에게 말을 거는 이야기들에 응답하기를 바란다. 


1부 "나의 말이 세계를 터뜨릴 것이다"

5층 전시실은 국가보안법에 연루된 여성 11인의 경험과 삶을 각 조사실별로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국가보안법이 만들어진 이래 국가보안법으로 인한 피해와 이에 저항하는 운동은 계속되어 왔다. 

하지만 여성들의 목소리는 한 번도 전면에 드러나지 못했다.


공백과 부재로 남아있던 여성들의 존재를 알려주는 목소리들을 따라가다 보면

국가보안법 체제 안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인지,

국가보안법 폐지 운동 속에서 여성은 어떠한 위치와 조건에 있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요란한 국가안보의 구호와 웅변 속에서 이들의 이야기는

삶과 영혼에 깊은 상흔을 남긴 국가보안법의 참상을 고발하면서 과연 누구를 위한 국가안보였는지를 돌아보게 한다.


말하고 행동하는 여성들의 존재는 여성의 시선으로 기억과 역사를 새롭게 구성하며,

국가보안법을 다시, 다르게 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아직 말해지지 못한 침묵에도 귀 기울이며, 우리에게 말을 거는 이야기들에 응답하기를 바란다.

사운드 스케이프 국가보안법의 일상   

 
11개의 낭독 | 단채널 오디오, 2020  | 녹음진행: 권은비, 박지은, 보코  | 녹음편집: 이효섭, 정유민  |  사진: 정택용

국보법이 폐지되면

그 자리에서 춤을 출거야

구술자 | 정순녀

낭독은 문화평론가 손희정님이 참여해주셨습니다.


사진 작품  진 정택용 | 피그먼트 프린트 | 80*53 | 2020년